닫기
산업2025년 02월 건설경기실사지수
발간 2025.03.11 조회 104 건설산업연구원

◎ (실적지수) 2025년 2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67.4로 전월 대비 3.0p 하락

- 공사기성지수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9.7p)하며 최근 1년간 가장 낮은 수준 기록

- 신규수주지수(60.8, -1.8p), 수주잔고지수(67.9, -8.9p), 공사대수금지수(78.7, -6.7p)도 전월 대비 하락

- 자금조달지수(71.6, +4.0p)와 자재수급지수(91.8, +7.5p)는 전월 대비 상승

-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토목(63.9, -1.2p)과 비주택건축(59.9, -0.7p) 부문이 전월 대비 하락하고 주택(61.6, +1.8p) 부문은 상승

- 대기업지수(80.0, -12.9p)와 중소기업(54.5, -0.7p) 지수는 하락하고 중견기업(67.7, +4.4p) 지수는 상승

- 서울지수(73.8, -12.9p)는 하락하고 지방지수(63.6, +4.7p)는 상승

◎ (전망지수) 2025년 3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전망지수’는 69.7로 2월 ‘종합실적지수’보다 2.3p 높은 수준

- 모든 세부 전망지수가 2월 실적지수 대비 높은 수준

-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 지수는 동일, 중견기업은 하락, 중소기업 지수는 상승 전망

-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토목, 주택, 비주택건축 부문 모두 고른 개선 전망

- 지역별로 서울과 지방 모두 상승 전망

◎ (경기진단) 2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 검토 결과 1월에 이어 체감 건설경기 하락 지속

- 2월 건설경기실사 세부지수 중 자금조달과 자재수급 지수를 제외한 신규수주, 공사기성, 수주잔고, 공사대수금 지수가 모두 하락하여 종합실적지수 역시 하락

- 종합실적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신규수주지수의 영향력은 62.3%, 자금조달지수의 영향력이 13.0%로 두 번째였으며, 수주잔고의 영향력이 10.3%로 그 뒤를 이음

- 한편, 2015년 3월 종합전망지수는 2월 종합실적지수보다 2.3p 높은 69.7

2025년_2월_CBSI.pdf
이 리포트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