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AN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총 15개국이 참여한 메가 FTA인 RCEP이 작년 11월 15일 타결되었다. RCEP은 회원국 사이에 기체결된 다양한 무역협정을 하나의 협정으로 통합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RCEP은 인구수, 참여국 수, GDP 비중 등의 측면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무역협정이다. 2019년 기준 RCEP에 대한 한국의 수출 규모는 2,389억 달러로 총수출의 49.6%를 차지한다.
RCEP은 회원국들의 경제 발전 수준을 존중하면서 글로벌 및 지역 공급망에 대한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원산지 규칙을 통일하였다. 합법적인 공공정책 목표를 실현하면서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무역 및 투자 활성화 조항 등을 통해 시장접근을 보장하였다. 이번 RCEP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것은 한국과 일본 양국의 무역 및 경제 관계에서 큰 진전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은 상대국 경제에 대한 접근성이 한층 높아짐에 따라 가장 큰 이익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동아시아 경제 및 무역 공동체를 위한 건설적인 한일 관계의 구축은 향후 양국의 경제 및 무역 협력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RCEP을 통해 한일 간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된 만큼, 그동안 CPTPP 참여를 고민해온 우리 정부의 노력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RCEP의 체결은 우리나라의 CPTPP 가입에 따른 정치적 및 경제적부담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1다시 주목받는 AR-VR | (3p) |
2바이오의약품 콜드체인의 디지털화 동향 | (3p) |
3지속가능경영의 최근 트렌드와 금융기관 사례 분석 | (17p) |
4유료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 추이 분석 | (10p) |
5해외재정동향 및 이슈 분석 | (140p) |
6건설동향브리핑 794호 | (12p) |
72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 (9p) |
8코로나19 위기 극복 등을 위한 뉴딜펀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제언 | (20p) |
9반도체산업 성장에서 플랫폼으로서의 Foundry 중요성 | (13p) |
10AI 산업 생태계와 사업화 요건 | (23p) |
1KDB경제연구소 | 932 |
2기타 | 651 |
3건설산업연구원 | 621 |
4하나금융연구소 | 546 |
5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456 |
6조세연구원 | 402 |
7에너지경제연구원 | 373 |
8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306 |
9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85 |
10정보통신정책연구원 | 193 |
1KDB경제연구소 | 96 |
2에너지경제연구원 | 27 |
3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0 |
4정보통신정책연구원 | 17 |
5건설산업연구원 | 16 |
6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13 |
7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12 |
8조세연구원 | 5 |
9한국개발연구원(KDI) | 3 |
10기타 | 0 |
1KDB경제연구소 | 6 |
2건설산업연구원 | 5 |
3기타 | 4 |
4조세연구원 | 3 |
4하나금융연구소 | 3 |
4우리금융경영연구소 | 3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2 |
7정보통신정책연구원 | 2 |
7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 |
7에너지경제연구원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