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부터 꾸준히 확장세를 이어오던 국내 ELS 시장은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 시기를 지나면서 위축되었다. 국내외 증시가 회복하면서 하반기 ELS조기상환 규모가 증가하였지만, 금융당국의 규제방안과 발행사들의 위험관리 강화 등으로 ELS 신규 발행은 이전 대비 감소하면서 개별 발행사들의 운용 규모가 감소하였다. 향후 국내 ELS시장은 이전보다 규모가 축소되겠지만, 현재와 같이 국내외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사용하는 스텝다운 구조가 주류를 이루는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감안한 시장 참여자들의 전략과 금융당국의 정책이 필요할 수 있다.
▶ 스텝다운 ELS는 오랜 기간 동안 발행되면서 익숙한 상품이 되었다는 장점이 있지만, 판매사는 투자 위험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지속적인 투자자보호를 위한 점검을 하여야 한다. 개별 발행사는 각자 처해진 상황은 물론 시장 전체 상황을 고려하여 ELS의 규모 및 운용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체계적인 위험관리를 지속해 나가며 ELS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금융당국도 ELS시장 모니터링과 함께 유사시 시장 충격에 대비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을 할 필요가 있다.
1다시 주목받는 AR-VR | (3p) |
2월간 건설 부동산 동향(2021.02) | (10p) |
3[자본시장연구원] 코로나19와 환경·사회책임 우수기업 주식의 성과 | (3p) |
4중고차 시장의 특징과 부가가치세 문제 | (8p) |
5바이오의약품 콜드체인의 디지털화 동향 | (3p) |
6지속가능경영의 최근 트렌드와 금융기관 사례 분석 | (17p) |
7건설동향브리핑 794호 | (12p) |
8[산업연구원] RCEP의 주요 내용과 우리의 대응방향 | (11p) |
9유료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 추이 분석 | (10p) |
10코로나19 위기 극복 등을 위한 뉴딜펀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제언 | (20p) |
1KDB경제연구소 | 995 |
2기타 | 528 |
3건설산업연구원 | 476 |
4하나금융연구소 | 467 |
5한국개발연구원(KDI) | 459 |
6우리금융경영연구소 | 458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434 |
8에너지경제연구원 | 346 |
9조세연구원 | 285 |
10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84 |
1KDB경제연구소 | 121 |
2에너지경제연구원 | 26 |
3한국개발연구원(KDI) | 24 |
4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3 |
5정보통신정책연구원 | 14 |
6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13 |
7건설산업연구원 | 11 |
8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10 |
9조세연구원 | 4 |
10기타 | 0 |
1KDB경제연구소 | 7 |
2기타 | 4 |
2건설산업연구원 | 4 |
4하나금융연구소 | 3 |
4우리금융경영연구소 | 3 |
4조세연구원 | 3 |
7한국개발연구원(KDI) | 2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2 |
7정보통신정책연구원 | 2 |
7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