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 최근 코로나19 이후 인플레이션 도래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가운데 시장의 기대인플레이션도 반등하면서 향후 물가 향방에 관심이 증가
▶ [인플레 논쟁 근거] 시장 컨센서스는 2분기 기저효과로 일시 상승 후 2% 미만의 완만한 추세로 복귀한다는 것이나, 과거 위기가 다른 통화 재정정책 대응과 코로나 이후 소비 증가 등이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차 확산
○ 시장 컨센서스 : 2분기 일시적 물가상승이 나타나더라도 높은 실업 등 경제 내 상당한 'slack'을 감안 시 지속적인 인플레 상승 위험은 낮다는 시각이 우세
○ 인플레 우려 논거 : ▲팬데믹 중 유동성 급증 ▲재정부양 ▲연준FAIT(평균물가목표) 도입 등
▶ [금리 영향] 작년 8월 저점부터 현재까지 국채금리(10년)가 60bp 가량 상승했지만 이중 물가 요인은 약 절반 정도로 완만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반영중인 것으로 추정. 다만, 투자자들의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한 민감도는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
▶ [시사점] 아직 가파른 물가상승 가능성은 'Tail-risk'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 인플레이션 위험이 가시화될 경우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 수정이 불가피 해질 것이며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진 위험자산의 투매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앞으로의 향방에 주목할 필요
1다시 주목받는 AR-VR | (3p) |
2월간 건설 부동산 동향(2021.02) | (10p) |
3[자본시장연구원] 코로나19와 환경·사회책임 우수기업 주식의 성과 | (3p) |
4중고차 시장의 특징과 부가가치세 문제 | (8p) |
5바이오의약품 콜드체인의 디지털화 동향 | (3p) |
6지속가능경영의 최근 트렌드와 금융기관 사례 분석 | (17p) |
7건설동향브리핑 794호 | (12p) |
8[산업연구원] RCEP의 주요 내용과 우리의 대응방향 | (11p) |
9유료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 추이 분석 | (10p) |
10코로나19 위기 극복 등을 위한 뉴딜펀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제언 | (20p) |
1KDB경제연구소 | 996 |
2기타 | 528 |
3건설산업연구원 | 476 |
4하나금융연구소 | 467 |
5한국개발연구원(KDI) | 459 |
6우리금융경영연구소 | 458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434 |
8에너지경제연구원 | 346 |
9조세연구원 | 285 |
10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84 |
1KDB경제연구소 | 121 |
2에너지경제연구원 | 26 |
3한국개발연구원(KDI) | 24 |
4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3 |
5정보통신정책연구원 | 14 |
6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13 |
7건설산업연구원 | 11 |
8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10 |
9조세연구원 | 4 |
10기타 | 0 |
1KDB경제연구소 | 7 |
2기타 | 4 |
2건설산업연구원 | 4 |
4하나금융연구소 | 3 |
4우리금융경영연구소 | 3 |
4조세연구원 | 3 |
7한국개발연구원(KDI) | 2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2 |
7정보통신정책연구원 | 2 |
7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