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정건전성) 경기부진에 따른 재정수지 악화로 국가부채가 증가하는 가운데, 추가 부양책 시행은 재정건전성 부담을 가중
- 신흥국은 자본유출 우려 등으로 인해 선진국보다 상대적으로 高금리를 유지, 이자지출 부담이 높은 편
▶ (대외건전성) 경상수지 악화, 외국인투자 부진 등이 지속되겠지만, 일정정도 외환보유액 수준을 유지하며 단기 외채상환능력은 확보중
- 신용등급 하락 등 투자처로서의 안전성이 낮아지면서 전반적으로 주요 신흥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도 부진
▶ (금융안전성) 환율-CDS 프리미엄 등의 변동성은 여전히 높은 수준, 민간부채규모가 증가하며 은행의 부실여신도 증가
- (한율,CDS) 전반적 안정화 속에서도, 여전히 불확실성은 높은 상황
- (은행 부실여신)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부채규모가 증가하는 가운데, 가계소득 기업이익 부진 등으로 각국 은행의 부실여신비율도 상승
<시사점>
▶ 코로나19 이후 주요 신흥국의 경기부진이 장기화될 가능성 우려
▶ 코로나19 대응으로 재정건전성과 대외건전성이 저하되는 가운데 국가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단기간 외채상환 부담 등은 낮은 상황이나 코로나19 진정 이후 새로운 리스크 발생 가능성도 상존, 향후 국내경제와 관련이 깊은 주요 신흥국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1다시 주목받는 AR-VR | (3p) |
2월간 건설 부동산 동향(2021.02) | (10p) |
3[자본시장연구원] 코로나19와 환경·사회책임 우수기업 주식의 성과 | (3p) |
4중고차 시장의 특징과 부가가치세 문제 | (8p) |
5바이오의약품 콜드체인의 디지털화 동향 | (3p) |
6지속가능경영의 최근 트렌드와 금융기관 사례 분석 | (17p) |
7건설동향브리핑 794호 | (12p) |
8[산업연구원] RCEP의 주요 내용과 우리의 대응방향 | (11p) |
9유료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 추이 분석 | (10p) |
10코로나19 위기 극복 등을 위한 뉴딜펀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제언 | (20p) |
1KDB경제연구소 | 996 |
2기타 | 528 |
3건설산업연구원 | 476 |
4하나금융연구소 | 467 |
5한국개발연구원(KDI) | 459 |
6우리금융경영연구소 | 458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434 |
8에너지경제연구원 | 346 |
9조세연구원 | 285 |
10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84 |
1KDB경제연구소 | 121 |
2에너지경제연구원 | 26 |
3한국개발연구원(KDI) | 24 |
4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3 |
5정보통신정책연구원 | 14 |
6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13 |
7건설산업연구원 | 11 |
8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10 |
9조세연구원 | 4 |
10기타 | 0 |
1KDB경제연구소 | 7 |
2기타 | 4 |
2건설산업연구원 | 4 |
4하나금융연구소 | 3 |
4우리금융경영연구소 | 3 |
4조세연구원 | 3 |
7한국개발연구원(KDI) | 2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2 |
7정보통신정책연구원 | 2 |
7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