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인의 Santander 은행은 소매금융 위주의 사업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후금융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PF를 중심으로 기업 및 투자금융 사업 확대 노력 중
○ 기후변화는 금융기관의 사업 확대에 있어 기회 요인으로 작용 가능하며, 국내 은행들도 Santander 사례를 참고하여 향후 상품군 확충, 투자 기회 발굴 등 노력 경주 필요
* Santander 은행은 유럽 및 중남미에서의 지속적인 M&A를 통해 기본자본 기준 세계 15위 은행으로 성장
* 기후금용은 탄소배출 경감 및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에 기여하는 금융을 의미
- (기업 ' 투자 금융) PF, M&A, 그린본드 발행 등 기업'투자금융 영역에서 기업의 자금조달에 기여하고 있으며 19년 실적은 186억유로 기록
- 이외에도 청정 교통수단,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 앞 에너지효율 개선, 신재생 에너지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 앞 대출 및 리스 상품을 제공 중
○ 향후 신기후체제 도래가 예상됨에 따라, 국내 은행들도 지속적 기후금융 추진을 통하여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기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
- 실례로, 글로벌 그린본드 발행액은 13년 110억달러에서 19년 2577억달러로 연평균 69% 증가
- 저성장, 저금리 환경에 직면한 국내 은행들도, Santander 은행과 같이 기후금융상품군의 확충 및 개발, 투자 기회(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산 등) 발굴 등을 통해 신규 사업영역을 확보할 필요
1기타 | 1,314 |
2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1,066 |
3대외 경제정책 연구원 | 1,014 |
4KDB경제연구소 | 991 |
5한국개발연구원(KDI) | 596 |
6에너지경제연구원 | 466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461 |
8하나금융연구소 | 263 |
9IBK경제연구소 | 248 |
10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22 |
1기타 | 216 |
2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09 |
3KDB경제연구소 | 66 |
4대외 경제정책 연구원 | 48 |
5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38 |
5에너지경제연구원 | 38 |
7한국개발연구원(KDI) | 24 |
8IBK경제연구소 | 14 |
9우리금융경영연구소 | 12 |
10하나금융연구소 | 0 |
1기타 | 8 |
2KDB경제연구소 | 7 |
3한국개발연구원(KDI) | 5 |
3대외 경제정책 연구원 | 5 |
5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3 |
5에너지경제연구원 | 3 |
7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2 |
7IBK경제연구소 | 2 |
10하나금융연구소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