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백신 보급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를 반영하여 1~2월 중 국내외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주요국 통화와 주가는 강세 기조를 이어가겠으나, 지난해 11~12월 중 단기 급등에 따른 가격 부담으로 위험자산 상승폭은 둔화될 전망
- 한은과 미 연준은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한국 0.5%, 미국 0.25%)
- 국고채 금리는 확장적 재정운용, 실물경기 개선 기대를 반영하여 완만한 오름세(국고 3년물 12월말 0.97% → 1월 말 0.99% → 2월말 1.02%)
: 코로나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백신 보급에 따른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 수출 지표 개선, 상반기 재정 조기집행을 반영하여 금리상승압력이 우세
: 선진국 국채금리도 경기 회복 기대, 발행물량 증가로 소폭 상승(미 국채 10년물 12월말 0.91% → 1월말 0.95% → 2월말 0.97%)
○ 원화와 주요국 통화는 글로벌 경기 회복, 미중 갈등 완화에 따라 달러화 대비 소폭 강세
- 위완화 강세에 더하여 국내 수출 회복과 경상수지 흑자기조가 원화 절상요인으로 작용
○ 한미 주가지수는 기업실적(특히 반도체 등 IT 업종) 개선, 풍부한 시중 유동성을 배경으로 오름세 지속. 다만 주요국의 코로나 확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주가 급등으로 밸류에이션 부담도 커지고 있어 지수의 단기조정 가능성이 점증
1기타 | 1,314 |
2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1,066 |
3대외 경제정책 연구원 | 1,014 |
4KDB경제연구소 | 993 |
5한국개발연구원(KDI) | 596 |
6에너지경제연구원 | 466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461 |
8하나금융연구소 | 263 |
9IBK경제연구소 | 248 |
10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23 |
1기타 | 216 |
2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09 |
3KDB경제연구소 | 66 |
4대외 경제정책 연구원 | 48 |
5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38 |
5에너지경제연구원 | 38 |
7한국개발연구원(KDI) | 24 |
8IBK경제연구소 | 14 |
9우리금융경영연구소 | 12 |
10하나금융연구소 | 0 |
1기타 | 8 |
2KDB경제연구소 | 7 |
3한국개발연구원(KDI) | 5 |
3대외 경제정책 연구원 | 5 |
5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3 |
5에너지경제연구원 | 3 |
7우리금융경영연구소 | 2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2 |
7IBK경제연구소 | 2 |
10하나금융연구소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