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리튬이차전지 개요
Ⅱ. 전고체 리튬이차전지 개발 현황
1. 전고체 전지 개요
□ 전고체 전지는 전지의 주요 구성요소가 모두 고체로 되어 있는 이차전지 형태를 지칭
- 전고체 전지와 기존 리튬이차전지의 작동원리는 동일하나, 전지의 구성요소 중 가연성 액체로 되어 있는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바꾸어 온도 변화와 외부 충격에 따른 화재 및 폭발 위험이 현저히 감소
□ 온도 변화와 외부 충격 등에 대비한 안전장치 및 분리막이 필요 없으므로 동일한 크기로 원가절감과 고용량 구현 가능
2. 전고체 전지의 필요성 및 기술적 과제
3. 전고체 전지 개발 현황
□ 일본 도요타 등 완성차 업체가 선도적으로 전고체 전지를 탑재한 차량의 상용화를 추진 중
□ 현대 기아차는 2017년경부터 남양기술연구소에서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전고체 전지 개발 중
□ 삼성전자(종합기술원)는 2020년 3월 전고체 전지 충전, 방전시 음극재(리튬금속)표면에 생성되어 효율 및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덴드라이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에 발표
Ⅲ. 전망 및 시사점
□ 기존 리튬이온전지에 대한 본격적인 시장 확대와 함께 지속적인 성능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어 단기간 내 전고체 전지로의 시장 전환은 어려울 전망
-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따라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은 리튬이온 기반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공격적인 대규모 설비투자 진행 중
Ⅳ. 결론
□ 글로벌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해양재생에너지 시장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나, 국내는 해외 대비 기술 격차와 실증연구 격차가 다소 존재하는 상황
□ (그린수소와 연계) 에너지전환 정책은 그린수소의 미래로 나아가고 있으며, 해양의 무한한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해양 그린수소의 등장이 필연적인 바, 이를 대비한 폭넓은 정책 수립과 연구개발이 필요
□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는 대략 2030년부터 대형 상용차량을 중심으로 서서히 이루어질 전망
- 시장 형성 초기에는 먼저 전기버스 같은 대형 상용차량에 적용되어 안전성과 신뢰성을 축적하고 이후 점차 승용차나 중소형 기기로 적용 범위 확대 예상
1한국바이오협회 | 5,462 |
2기타 | 5,439 |
3한국무역협회 | 3,371 |
4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637 |
5건설산업연구원 | 1,838 |
6우리금융경영연구소 | 1,371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1,114 |
8KDB경제연구소 | 808 |
9하나금융연구소 | 521 |
10에너지경제연구원 | 497 |
1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47 |
2한국무역협회 | 41 |
3한국바이오협회 | 21 |
4기타 | 19 |
5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13 |
6건설산업연구원 | 11 |
7KDB경제연구소 | 9 |
8에너지경제연구원 | 6 |
9우리금융경영연구소 | 5 |
10KB부동산 | 3 |
1기타 | 43 |
2한국바이오협회 | 37 |
3한국무역협회 | 28 |
4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12 |
5건설산업연구원 | 11 |
6우리금융경영연구소 | 8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6 |
7KDB경제연구소 | 6 |
9하나금융연구소 | 5 |
10한국개발연구원(KDI) | 3 |